본문 바로가기
♠ study방/詩 공부

올바른 문장부호 사용법

by 미스커피 2011. 11. 15.

 

올바른 문장부호 사용법


Ⅰ. 마침표


1. 온점( . ), 고리점( .)
가로쓰기에는 온점, 세로쓰기에는 고리점을 쓴다.
⑴ 서술, 명령, 청유 등에 나타나는 문장의 끝에 쓴다.
젊은이는 나라의 기둥이다.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
집으로 돌아가자.
다만, 표제어나 표어에는 쓰지 않는다.
압록강은 흐른다 (표제어)
꺼진 불도 다시 보자 (표어)
⑵ 아라비아 숫자만으로 연월일을 표시할 적에 쓴다.
1919. 3. 1.(1919년 3월 1일)
⑶ 표시 문자 다음에 쓴다.
1. 마침표 ㄱ. 물음표 가. 인명
⑷ 준말을 나타내는 데 쓴다.
서. 1987. 3. 5. (서기)

2. 물음표( ? )
의심이나 물음을 나타낸다.
⑴ 직접 질문할 때에 쓴다.
이제 가면 언제 돌아오니?
이름이 뭐지?
⑵ 반어나 수사 의문(修辭疑問)을 나타낼 때 쓴다.
제가 감히 거역할 리가 있습니까?
이게 은혜에 대한 보답이냐?
남북통일이 되면 얼마나 좋을까?
⑶ 특정한 어구 또는 그 내용에 대하여 의심이나 빈정거
림, 비웃음 등을 표시할 때, 또는 적절한 말을 쓰기 어
려운 경우에 소괄호 안에 쓴다.
그것 참 훌륭한(?) 태도야.
우리 집 고양이가 가출(?)을 했어요.
참고1) 한 문장에서 몇 개의 선택적인 물음이 겹쳤을
때에는 맨 끝의 물음에만 쓰지만(이 경우 대답은
한 번), 각각 독립된 물음인 경우에는 물음마다 쓴
다(이 경우 대답은 질문의 수 만큼).
너는 한국인이냐, 중국인이냐?
너는 언제 왔니? 어디서 왔니? 무엇하러?
참고2) 의문형 어미로 끝나는 문장이라도 의문의 정도
가 약할 때에는 물음표 대신 온점(또는 고리점)을
쓸 수도 있다.
이 일을 도대체 어쩐단 말이냐.
아무도 그 일에 찬성하지 않을 거야. 혹 미친 사람이면 모를까.

3. 느낌표( ! )
감탄이나 놀람, 부르짖음, 명령 등 강한 느낌을 나타낸다.
 
⑴ 느낌을 힘차게 나타내기 위해 감탄사나 감탄형 종결 어미 다음에 쓴다.
앗!
아, 달이 밝구나!
⑵ 강한 명령문 또는 청유문에 쓴다.
지금 즉시 대답해!
부디 몸조심하도록!
⑶ 감정을 넣어 다른 사람을 부르거나 대답할 적에 쓴다.
춘향아!
예, 도련님!
⑷ 물음의 말로써 놀람이나 항의의 뜻을 나타내는 경우에
쓴다.
이게 누구야!
내가 왜 나빠!
참고) 감탄형 어미로 끝나는 문장이라도 감탄의 정도가
약할 때에는 느낌표 대신 온점(또는 고리점)을 쓸
수도 있다.
개구리가 나온 것을 보니, 봄이 오긴 왔구나.

Ⅱ. 쉼표
1. 반점( , ), 모점( ,)
가로쓰기에는 반점, 세로쓰기에는 모점을 쓴다.
문장 안에서 짧은 휴지를 나타낸다.
⑴ 같은 자격의 어구가 열거될 때에 쓴다.
근면, 검소, 협동은 우리 겨레의 미덕이다.
충청도의 계룡산, 전라도의 내장산, 강원도의 설악
산은 모두 국립 공원이다.
다만, 조사로 연결될 적에는 쓰지 않는다.
매화와 난초와 국화와 대나무를 사군자라고 한다.
⑵ 짝을 지어 구별할 필요가 있을 때에 쓴다.
닭과 지네, 개와 고양이는 상극이다.
⑶ 바로 다음의 말을 꾸미지 않을 때에 쓴다.
슬픈 사연을 간직한, 경주 불국사의 무영탑
성질 급한, 철수의 누이동생이 화를 내었다.
⑷ 대등하거나 종속적인 절이 이어질 때 절 사이에 쓴다.
콩 심으면 콩 나고, 팥 심으면 팥 난다.
흰 눈이 내리니, 경치가 더욱 좋다.
⑸ 부르는 말이나 대답하는 말 뒤에 쓴다.
얘야, 이리 오너라.
예, 지금 가겠습니다.
⑹ 제시어 다음에 쓴다.
빵, 빵이 인생의 전부이더냐?
용기, 이것이야말로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젊은이
의 자산이다.
⑺ 도치된 문장에 쓴다.
이리 오세요, 어머님.
다시 보자, 한강수야.
⑻ 가벼운 감탄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쓴다.
아, 깜박 잊었구나.
⑼ 문장 첫머리의 접속이나 연결을 나타내는 말 다음에 쓴
다.
첫째, 몸이 튼튼해야 한다.
아무튼, 나는 집에 돌아가겠다.
⑽ 문장 중간에 끼어든 구절 앞뒤에 쓴다.
나는, 솔직히 말하면, 그 말이 별로 탐탁하지 않소.
철수는 미소를 띠고, 속으로는 화가 치밀었지만, 그
들을 맞았다.
⑾ 되풀이를 피하기 위하여 한 부분을 줄일 때에 쓴다.
여름에는 바다에서, 겨울에는 산에서 휴가를 즐겼
다.
⑿ 문맥상 끊어 읽어야 할 곳에 쓴다.
갑돌이가 울면서, 떠나는 갑순이를 배웅했다.
갑돌이가, 울면서 떠나는 갑순이를 배웅했다.
철수가, 내가 제일 좋아하는 친구이다.
남을 괴롭히는 사람들은, 만약 그들이 다른 사람에
게 괴롭힘을 당해 본다면, 남을 괴롭히는 일이 얼마
나 나쁜 일인지 깨달을 것이다.
⒀ 숫자를 나열할 때 쓴다.
1, 2, 3, 4
⒁ 수의 폭이나 개략의 수를 나타낼 때에 쓴다.
5, 6세기
6, 7개
⒂ 수의 자릿점을 나타낼 때에 쓴다.
14,314

2. 가운뎃점(·)
열거된 여러 단위가 대등하거나 밀접한 관계임을 나타
낸다
⑴ 쉼표로 열거된 어구가 다시 여러 단위로 나누어질 때에
쓴다.
철수·영이, 영수·순이가 서로 짝이 되어 윷놀이
를 하였다.
공주·논산, 천안·아산·천원 등 각 지역구에서 2
명씩 국회 의원을 뽑는다.
시장에 가서 사과·배·복숭아, 고추·마늘·파, 조
기·명태·고등어를 샀다.
⑵ 특정한 의미를 가지는 날을 나타내는 숫자에 쓴다.
3·1운동
8·15광복
⑶ 같은 계열의 단어 사이에 쓴다.
경북 방언의 조사·연구
충북·충남 두 도를 합하여 충청도라고 한다.
동사·형용사를 합하여 용언이라고 한다.

3. 쌍점( : )
⑴ 내포되는 종류를 들 적에 쓴다.
문장 부호 : 마침표, 쉼표, 따옴표, 묶음표 등
문방사우 : 붓, 먹, 벼루, 종이
⑵ 소표제 뒤에 간단한 설명이 붙을 때에 쓴다.
일시 : 1984년 10월 15일 10시
마침표 : 문장이 끝남을 나타낸다.
⑶ 저자명 다음에 저서명을 적을 때에 쓴다.
정약용 : 목민심서, 경세유표
주시경 : 국어 문법, 서울 박문서관, 1910
⑷ 시(時)와 분(分), 장(章)과 절(節) 따위를 구별할 때나,
둘 이상을 대비할 때에 쓴다.
오전 10 : 20(오전 10시 20분)
요한 3 : 16(요한복음 3장 16절)
대비 65 : 60(65대 60)

4. 빗금( / )
⑴ 대응, 대립되거나 대등한 것을 함께 보이는 단어와 구,
절 사이에 쓴다.
남궁만/남궁 만
백이십오 원/125원
착한 사람/악한 사람
맞닥뜨리다/맞닥트리다
⑵ 분수를 나타낼 때에 쓰기도 한다.
3/4 분기
3/20

Ⅲ. 따옴표
1. 큰따옴표( " " ), 겹낫표(『 』)
가로쓰기에는 큰따옴표, 세로쓰기에는 겹낫표를 쓴다.
대화, 인용, 특별 어구 따위를 나타낸다.
⑴ 글 가운데서 직접 대화를 표시할 때에 쓴다.
"전기가 없었을 때는 어떻게 책을 보았을까?"
"그야 등잔불을 켜고 보았겠지."
⑵ 남의 말을 인용할 경우에 쓴다.
예로부터 "민심은 천심이다."라고 하였다.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다."라고 말한 학자가 있다.
북소리가 "둥둥둥" 하고 울렸다.

2. 작음따옴표( ' ' ), 낫표(「 」)
가로쓰기에는 작은따옴표, 세로쓰기에는 낫표를 쓴다.
⑴ 따온 말 가운데 다시 따온 말이 들어 있을 때에 쓴다.
"여러분! 침착해야 합니다.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
날 구멍이 있다.'고 합니다."
⑵ 마음 속으로 한 말을 적을 때에 쓴다.
'만약 내가 이런 모습으로 돌아간다면 모두들 깜짝
놀라겠지.'
참고) 문장에서 중요한 부분을 두드러지게 하기 위해
드러냄표( ˙ ) 대신에 쓰기도 한다.
지금 필요한 것은 '지식'이 아니라 '실천'입니다.
'배부른 돼지'보다는 '배고픈 소크라테스'가 되겠
다.

Ⅳ. 묶음표
1. 소괄호( ( ) )
⑴ 원어, 연대, 주석, 설명 등을 넣을 적에 쓴다.
커피(coffee)는 기호 식품이다.
3·1운동(1919) 당시 나는 중학생이었다.
'무정(無情)'은 춘원(6·25때 납북)의 작품이다.
니체(독일의 철학자)는 이렇게 말했다.
⑵ 특히 기호 또는 기호적인 구실을 하는 문자, 단어, 구에
쓴다.
(1) 주어
(ㄱ) 명사
(라) 소리에 관한 것
⑶ 빈 자리임을 나타낼 적에 쓴다.
우리 나라의 수도는 ( )이다.

2. 중괄호( { } )
여러 단위를 동등하게 묶어서 보일 때에 쓴다.
주격 조사{{{{ LEFT { MATRIX { { 이}#
{가 }& } RIGHT }
}}
}}
국가의 3요소{{{{ LEFT { MATRIX { { 국토}#
{ 국민}#
{ 주권} } RIGHT }
}}
}}

3. 대괄호( [ ] )
⑴ 묶음표 안의 말이 바깥 말과 음이 다를 때에 쓴다.
나이[年歲]
낱말[單語]
手足[손발]
⑵ 묶음표 안에 또 묶음표가 있을 때에 쓴다.
명령에 있어서의 불확실[단호(斷乎)하지 못함]은 복
종에 있어서의 불확실[모호(模糊)함]을 낳는다.

Ⅴ. 이음표
1. 줄표( - )
이미 말한 내용을 다른 말로 부연하거나 보충함을 나타
낸다.
⑴ 문장 중간에 앞의 내용에 대해 부연하는 말이 끼여들
때 쓴다.
그 신동은 네 살에-보통 아이 같으면 천자문도 모
를 나이에-벌써 시를 지었다.
⑵ 앞의 말을 정정 또는 변명하는 말이 이어질 때 쓴다.
어머님께 말했다가-아니, 말씀드렸다가-꾸중만 들
었다.
이건 내 것이니까-아니, 내가 처음 발견한 것이니
까-절대로 양보할 수가 없다.

2. 붙임표( ­ )
⑴ 사전 논문 등에서 합성어를 나타낼 적에, 또는 접사나
어미임을 나타낼 적에 쓴다.
겨울­나그네
불­구경
손­발
휘­날리다
슬기­롭다
­(으)ㄹ걸
⑵ 외래어와 고유어 또는 한자어가 결합되는 경우에 쓴다.
나일론­실
다­장조
빛­에너지
염화­칼륨

3. 물결표( ∼ ) 일명 돼지꼬리
⑴ '내지'라는 뜻에 쓴다.
9월 15일∼9월 25일
⑵ 어떤 말의 앞이나 뒤에 들어갈 말 대신 쓴다.
새마을 : ∼운동 ∼노래
­가(家) : 음악∼ 미술∼

Ⅵ. 드러냄표
1. 드러냄표( ˚ , ˙ )
˙이나 ˚을 가로쓰기에는 글자 위에, 세로쓰기에는 글자 오른쪽에 쓴다.
문장 내용 중에서 주의가 미쳐야 할 곳이나 중요한 부분을 특별히 드러내 보일 때 쓴다.
참고) 가로쓰기에서는 밑줄( _ )을 치기도 한다.
다음 보기에서 명사가 아닌 것은?

Ⅶ. 안드러냄표
1. 숨김표(××, ○○)
알면서도 고의로 드러내지 않음을 나타낸다.
⑴ 금기어나 공공연히 쓰기 어려운 비속어의 경우, 그 글
자의 수효만큼 쓴다.
배운 사람 입에서 어찌 ○○○란 말이 나올 수 있
느냐?
그 말을 듣는 순간 ×××란 말이 목구멍까지 치밀
었다.
⑵ 비밀을 유지할 사항일 경우, 그 글자의 수효만큼 쓴다.
육군 ○○부대 ○○명이 작전에 참가하였다.
그 모임의 참석자는 김××씨, 정××씨 등 5명이
었다.

2. 빠짐표( □ )
글자의 자리를 비워 둠을 나타낸다.
⑴ 옛 비문이나 서적 등에서 글자가 분명하지 않을 때에
그 글자의 수효만큼 쓴다.
大師爲法主□□賴之大□薦(옛 비문)
⑵ 글자가 들어가야 할 자리를 나타낼 때 쓴다.
훈민정음의 초성 중에서 아음(牙音)은 □□□의 석
자다.

3. 줄임표( …… )
⑴ 할 말을 줄였을 때에 쓴다.
"어디 나하고 한 번……."
하고 철수가 나섰다.
⑵ 말이 없음을 나타낼 때에 쓴다.
"빨리 말해"

'♠ study방 > 詩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인연구  (0) 2011.11.15
시를 잘 쓰는 16가지 방법 /송수권( 시인)   (0) 2011.11.15
당신도 시인이 될 수 있다  (0) 2011.11.15
독후감 쓰는 법  (0) 2011.11.15
시를 쓰기 전에  (0) 2011.11.15